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창덕궁 홍매화, 만첩홍매 고혹적인 자태를 드러내다(2023년 3월 23일 개화상태 보고) 자연 지형을 살려 건물을 배치함에 따라 한국적 조형미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 그 창덕궁에 봄이면 수령 깊은 두 그루의 홍매화(만첩홍매)가 관람객을 불러 모읍니다. 3월 23일 현재, 개화 상태를 보고 왔습니다. 창덕궁 홍매화는 만첩홍매 창덕궁에는 두 그루의 홍매가 있는데, 모두 만첩홍매로 수령 400년으로 추산합니다.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만개해 그 자태를 뽐냅니다. 만첩홍매(萬疊紅梅) 만첩홍매란 여러 겹의 꽃잎이 겹쳐 피어나는 홍매 종류를 말합니다. 여느 매화보다 일찍 피어나며 그 화사함과 화려함은 일반 매화의 새초롬하고 고고한 자태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뭐랄까, 마치 수양벚꽃과 벚꽃의 차이 같고, 벚꽃과 겹벚꽃의 차이 같다고나 할까요? 만첩홍매는 그만큼 화려하고 풍성합니다.. 2023. 3. 24.
창덕궁 후원, 대충이라도 알고 가기_부용정, 애련지, 주합루, 연경당 부용정, 애련지, 주합루, 연경당 등 볼거리가 많은 창덕궁 후원, 대충이라도 알고 가고자 할 때 필요한 글입니다. 전각이나 후원 모두 인터넷 예약이 좋지만, 후원은 특히 해설자 인솔로만 진행되니 가급적 예약을 하고 가라는 말씀드리며, 창덕궁 후원 알고 가기, 정리합니다. 후원 입구 성정각 일원에서 창경궁과 경계를 이루는 담을 따라 올라가면 왕실정원의 초입부인 부용지에 이릅니다. 부용지 (芙蓉池) 일대 -芙蓉 : 연꽃 부용정 (芙蓉亭) 부용지의 네모난 연못과 둥근 섬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사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합니다. 연못은 장대석으로 쌓아 올렸고, 남쪽 모서리에는 물고기 조각이 하나 있습니다. 잉어 한 마리가 물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새겼는데, 이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 2023. 3. 23.
창덕궁의 주련(下) _청심정, 취한정, 소요정, 태극정, 청의정, 연경당, 선향재, 농수정 주련 창덕궁 후원에서 만날 수 있는 주련들 하(下) 편, 낙선재, 한정당, 부용정, 애련정, 존덕정, 관람정, 폄우사, 승재정의 주련 이어갑니다. 주련의 뜻과 종류 등 주련에 관한 일반 사항은 '주련 이해하기' 글을 참고하세요 청심정 주련 ① 松排山面千重翠(송배산면천중취) : 산허리에 늘어선 솔은 천 겹으로 푸르고 ② 月點波心一顆珠(월점파심일과주) : 물속에 비친 달은 한 덩이 구슬이런가. ③ 巖桂高凝仙掌露(암계고응선장로) : 바위의 계수나무에는 높이 선장(仙掌)의 이슬이 맺히고 ④ 畹蘭淸暎玉壺氷(원란청영옥호빙) : 동산의 난초엔 맑게 옥병의 얼음이 비치네. 취한정 주련 ① 一庭花影春留月(일정화영춘류월) : 온 뜨락의 꽃 그림자 봄은 달을 붙잡고 ② 滿院松聲夜聽濤(만원송성야청도) : 집안 가득 솔바람소리 밤에.. 2023. 3. 22.
창덕궁의 주련(上) _낙선재, 한정당, 부용정, 애련정, 존덕정, 관람정, 폄우사, 승재정 주련 창덕궁 후원에서 만날 수 있는 주련들, 낙선재, 한정당, 부용정, 애련정, 존덕정, 관람정, 폄우사, 승재정의 주련들 살펴봅니다. 주련의 뜻과 종류 등 주련에 관한 일반 사항은 '주련 이해하기' 글을 참고하세요 낙선재 주련 ① 瓦當文延年益壽(와당문연년익수) : 와당에는 연년익수(延年益壽)라고 씌어 있고 ② 銅盤銘“貴吉祥(동반명부귀길상) : 동반에는 부귀길상(“貴吉祥)이라고 새겨져 있네. ③ 山隨水曲趣無盡(산수수곡취무진) : 산이 물을 따라 굽이치니 흥취가 다함이 없고 ④ 竹與蘭期坐有情(죽여란기좌유정) : 대와 난과 기약하였으니 자리에 정이 넘치네. ⑤ 經學精硏無嗜異(경학정연무기이) : 경학을 정밀히 연구하여 특이함을 좋아하지 않았고, ⑥ 藝林博綜乃逢原(예림박종내봉원) : 문예를 널리 종합하여 이에 근원을.. 2023. 3. 22.